Eyes Wide Shut (1999) : A Dream Story.

MuzeWeek/Culture 2008. 9. 22. 16:13

Stanley Kubrick의 유작. 마에스트로의 마지막 작품. 그리고 그 비슷한 부류 모든 것이 바로 이 영화, Nicole KidmanTom Cruise의 주연으로 기억되는 Eyes Wide Shut (1999)을 수식하는 표현이다. 엄밀히 말해서 나는 그의 세대가 아니다. 그가 침상에서 죽음을 맞이하기 직전까지 작업했던 이 작품 전이라고 해봤자 1987년도의 풀 메탈 자켓 정도인데, 내가 알리가 없지. 솔직히 말하자면 꽤 최근에서야 SF 영화 사상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찬사를 받는 2001 : A Space Odyssey (1968)를 보게 되었는데, "...하아? 이게 뭔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 아무리 스탠리 큐브릭 스스로가 '한번 봐서는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영화'라고 했다지만 정말 도통 감을 잡을 수가 없더라. (어떻게든 이해해보려고 Arthur Clarke의 동명 소설도 일단 사놓긴 했는데, 여유가 안 나서 일단은 보류 중.) 이 잡다한 서론의 결론은 무엇인가 하면, 본인은 그의 세대도 아니고 그의 작품에 열광하는 이도 아니지만, 그가 왜 마에스트로라 불리었는지 이제는 그 이유를 알겠다는 것이다.

Eyes Wide Shut (1999)

Eyes Wide Shut (1999)은 오스트리아 작가 Arthur SchnitzlerTraumnovelle (1926)[각주:1]을 각색한 작품이라고 한다. 그 원작의 제목에 걸맞게 굉장히 몽상적인(dreamy) 이미지로 진행이 되는데, 그 덕분인지 속도감이 정말 환장할 정도로 느리다. (게다가 러닝타임도 159분. 사실 블루레이를 장만한 기념으로 BD타이틀로 구매해서 본 것인데...졸려서 죽는 줄 알았다.) 보아하니 이건 당시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어느정도 공통된 의견이었던 것 같다. 미치도록 느린 것 까진 대부분 동의를 하는데, 그것이 몽상적 진행을 위해 의도된 것이라고 보는 이들과, 그냥 그의 작품 자체가 원래 현대의 시점에서 보면 느릴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이들로 나눠진다. 글쎄, 분명 몽환적인 것은 맞다. 그런데 2001 :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선례를 비추어보면 후자의 의견도 아주 타당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우리 세대는 이해할 수 없는 느긋함을 향유할 수 있었던 것일지도 모르지. 의도 되었든 그렇지 않든, 이 느리고 몽환적인 서사감 속에서 관객들은 오히려 많은 것을 상상하고 생각하게 된다. 과연 지금 저놈이 저기 서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대체 저 여자는 누굴까. 왜 제목이 Eyes Wide Shut인가...등등 해서 내가 왜 지금 이 영화를 보고 있는가에 이르기까지. 영화가 쉴 새 없이 발산하는 영상이나 텍스트를 주워담기 급급한 요즘 관람 문화에 비추어보면 제대로 '감상한다'는 느낌이 나기도 한다.

마스크 생긴 것도 참...

이 영화가 꿈에 대한 이야기라면, 그건 어떤 꿈이기에? 물론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겠고, 여러 수식어로 묘사해볼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판타지(fantasy)에 대한 영화라고 할 수 있겠다. Eyes Wide Shut (1999)은 Dr. Bill Harford(톰 크루즈 분)가 겪는 크리스마스 전 이틀 간의 악몽(?)에 대해 들려주고 있는데, 따라서 어찌 보면 세세한 부분에 여러가지 판타지가 섞여 있는 형태이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도 거대한 꿈 속을 헤집고 다니는 꼴이다. 우리는 예쁜 아내와 딸을 두고 의사로서의 안정적인 수입과 생활양식을 영위하던 그가, 마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이야기와 비슷하게도 정신줄을 놓게 만드는 일련의 모험을 하게 되는 과정을 지켜본다. 여기서 드러나는 것은 기본적으로 성적 판타지(sexual fantasy)이기도 하지만, 일상에서의 일탈, 새로운 것에 대한 갈망, 소시민적 정의감 실현에의 판타지이기도 하다. (특히 마지막 부분은 '어줍잖은 영웅 행세', 즉 vigilantism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면 꽤 재밌는 결과를 보여줄 것 같긴 하지만, 이 영화에까지 히어로 어쩌고 하는 것은 오바인 것 같으니 넘어가기로 하자.) 화려한 뉴요커이자 멋진 의사로서의 신분을 벗고, 점점 인간 본성 그 자체로 강물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는 그런 느낌. 영화 전반에 걸쳐서, 특히 Harford 부부의 방을 배경으로 할 때는 더욱 눈에 띄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주황색과 파란색의 교차'이다. 처음에는 분명 실내가 따뜻한 느낌의 오렌지 빛으로 표현이 되었고, 밖이 차가운 파란색으로 그려졌었는데...나중 가면 바뀌어 버리기도 한다. 이 배경색의 대비 역시 꿈과 현실의 대비를 표현하는 영상적 장치로 사용된 것이 아닌가 싶다.

그 여정의 끝에는 항상 각성(awakening)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Alice Harford(니콜 키드만 분)는 남편이 고백한 모험담(?)을 듣고 크리스마스 쇼핑을 나선 가게에서 등장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이렇게 말한다. "We need to do one very important thing soon. Fuck." (우린 최대한 빨리 아주 중요한 일을 하나 해야 되요. 섹스.) 영화 자체가 'fuck'이라는 단어로 끝난다는 것도  상당히 난감하긴 한데, 왜 하필이면 그 단어로 끝맺음을 냈는지는 사실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Alice는 일상의 행복에 젖어있는 그의 남편에게 자신이 꿈에서 겪은 성적 판타지에 대한 이야기를 늘어놓았고, Bill은 그것에 대한 귀여운 복수심에서랄까 여타 모험을 하게 된 셈이다. 저 대사의 의미는 그 모험에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는 것은 결국 서로와의 섹스라는 것인데, 결국 이 영화는 fuck으로 시작해서 fuck으로 끝난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이 성적 판타지에 대한 담론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섹스란 '살아있음'의 증거이기도 하다. 죽어서 사후세계를 헤매는 것 같은 이 과정에 끝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은, 그 살아있음의 증거를 실현하는 것 뿐이다. 이 영화에 따르면 'fuck'이라는 행위는 꿈에 밀접하게 관련된 존재이면서도 동시에 그것에 종결을 가져오는, 각성의 작용도 하고 있는 것 아닌가. 아니면 그것이 실제로 꿈에서 깨어난 것이 아닌, 새로운 꿈으로의 연결이라는 의미일까. 재미있는건, 어떻게 하든 간에 불가능해보였던 '부부간의 성행위'에 대한 판타지화가 이 영화에서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결혼을 안 해서 솔직히 모르겠지만.)

Eyes Wide Shut
, 왜 하필 제목을 이렇게 지었을까? 스탠리 큐브릭은 자신이 직접 이 영화에 대해 코멘트하지는 못했지만[각주:2], 이 제목 하나에 그의 의도를 전부 담아낸 것 처럼 보인다. 보통 eyes 다음에 wide가 오면, 그 수순은 open이 되어야 한다. eyes wide open은 '눈을 크게 뜨고' 바라 본다는 것인데, 너무도 놀라운 일을 목격했다는 표현에 사용되기도 하고, 아니면 누군가가 눈을 시퍼렇게 뜨고 쳐다보고 있는데 뭘 제대로 할 수 있겠는가 하는 식의 표현에 사용되기도 하겠지. 그렇다면 open을 shut으로 바꿔서 얻은 의미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바로 분명 있는건 아는데, 보이지 않는 척이다. 보고도 보지 않은 척. 분명 거기에 있다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척. (공각기동대에 등장하는 '나는 눈을 감고 귀를 막아 벙어리가 되려 하였다'라는 구절과 일맥상통한달까.) 비합리적이라고? 그게 무슨 삽질이냐고? 아니 이건 꿈 속을 헤매는 이 영화의 등장인물들의 행태가 아니라, 우리 인류 자체의 본질을 암시하는 말이다. 인간이란 분명 적어도 이 지구 상의 최고 지적 생물체로서, 수도 없이 많은 지식을 향유하고 있고 생태를 인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리성의 관점에서 볼 때 해당 정보를 지니고 있을 때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하더라도, 결국에는 그 길을 가고야 만다. 그게 유전자 속에 포함된 반골 인자 덕인지, 아니면 여유로움에 배가 불러서 파생되는 무지인지는 알 방도가 없지만, 분명 우리는 눈을 크게 뜨고 살아간다고 생각하면서도 실제로는 질끈 감고 있다.

무서운 러시아 여인네.

본인은 이것이, Stanley Kubrick이 이 세상에 남기고 간 마지막 유언이 아닐까 싶다. 물론 그냥 '세상은 눈을 감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인지, 그래서 '눈을 떠라!'라는 호통인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지만, 적어도 이것이 그의 마지막 메세지였던 것은 확실하다. (아마 그의 생리를 비추어보면 후자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는 언제나 '이렇게 해라'는 둥의 참견은 하지 않았다. 다만 영화를 열받으리만큼 이해하기 귀찮게 만들었을 뿐. 오늘도 우리는 많은 것을 보고도 보지 못한 척 지나친다. 왜냐면 그게 편하거든. 시스템에 돌발인자가 발생한다면, 치유할 수도 있지만 아예 없는 것으로 만들어버리면 더 간단하거든. 그런데 문제는, 우리 사는 세상이 '시스템'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스스로가 보이지 않는 시스템에 제어되어 자체성을 억눌린 매트릭스 안의 인물들이라고 말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그것보다는 훨씬 인간성 있는 세상을 살고 있다. 수많은 결함이 있고, 수많은 오류와 비합리성이 존재한다. 이 사실을 나도 알고, 당신도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가 않다. 우리 힘으로 어쩔 수 없다고 자위도 해볼 수 있겠지. 그래서 큐브릭도 눈을 뜨라는 말 자체는 못했는지 모른다. 거장의 마지막 메세지조차도 관객들은 '봐도 못 본 척'해버리면 그만이고 말이다. 계속 이대로 살아도 좋을지 모른다. 하지만 평생을 눈을 감고 살아가면 이미 그건 죽어 있는 것 아닌가? 이 영화는 'fuck'의 단말마를 외치고 사라졌는데, 앞에서 미리 섹스는 '살아있음의 증거'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그러니 그것은 죽음의 문턱 앞에 선 마에스트로의, 우리네 인생에 대한 마지막 충고가 아니었을까.

이건...서비스.

  1. 영어로는 Dream Story라고 번역됨. [본문으로]
  2. Stanley Kubrick은 촬영을 마치고 사흘 뒤 사망했는데, 그가 이 영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는 측근들의 말이 꽤 차이가 난다. 말도 안 되는 쓰레기같은 영화라고 했다고 하기도 하고, 너무 마음에 들어서 별로 편집과정도 거치지 않을 정도였다고 하기도 하고 말이다. 진실은 저 너머에.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