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nophobia : 결국엔, 그들도 인간이다.

MuzeWeek/Politics & Social 2008. 1. 10. 09:09

여기 3개의 기사가 있다.


언젠가, 나의 지인 중 한명이 "외국인 노동자 몇몇이 동네 여학생을 윤간했다"는 요지의 글을 읽었다는 말을 했던 기억이 난다. 사이버 스페이스에서 얻는 정보란 대부분이 그렇듯, 일단 한번 이상은 그 신뢰성을 의심해야 함에는 틀림이 없다. 따라서 나의 첫 반응은 "낚시 즐"이었지만, 실제로 위의 기사로도 확인이 되니 낚시가 아닐 가능성이 훨씬 커진 셈이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이건 절대 하루 이틀 전에 생겨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석기시대 때도 어디선가 굴러먹다 온 개뼉다귀 같은 놈들이 무리에 합류하면 어떤 형태로든 마찰이 생겼을 것 아닌가. 이 문제는 역사적으로 한 번도 해결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줄어들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아돌프 히틀러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같은 경우는 아주 간단하고 깔끔한 해결책을 내놓았다.
"싸우자!!"
사실, 아직도 이런 해결법을 원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실제로 밀로셰비치, 히틀러와 같이 의지와 여건만 뒷받침해 준다면 실행에 옮길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물론, 물리적인 숙청을 동반하지 않더라도 입국금지, 강제추방, 강제수용 등의 옵션도 있겠다. 하지만 우리가 또 잊어서는 안 될 한 가지는, 세상에는 별의별 미친 놈들이 다 있다는 사실이다. 우린 그들을 주시할 수는 있지만, 그들의 행위를 예견할 수 없는 한 미리 세상에 미안해 할 필요는 없다. 그런 면에서 '처벌'은 당연한 것이지만, 'over-precaution'(과도한 예방책)은 절대 논의의 대상이 되어서 안 된다. 위에 소개한 3개의 기사를 읽으면, 무슨 생각이 드는가? 각각을 따로 봤을 때 느끼는 감정과, 함께 나열해놓고 볼 때의 심정을 비교해보면, 참 미묘하지 않은가.

Rest in peace..

많은 한국인들은 스스로가 소위 Xenophobia(외국인 혐오증)에서 자유롭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건 대부분의 경우 착각에 불과하다. 왜냐면 그것은 '다름'에서 나오는 근본적인 공포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몇 세기가 넘도록 서로 다른 문화와 인종의 충돌을 경험한 미국이나 중국에서도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상당한 세월 동안 '한민족'임을 강조해왔던 한국인들에게 어려운 과제로 다가오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익숙해짐'과 그렇지 않음에 있다. 세계 모든 인종과 문화가 통합될 가능성은 '0'에 수렴하기에, Xenophobia 역시 완벽히 사라질 가능성은 없겠지만, 그 정도의 문제에 있어서는 분명 개선이 가능하다. 미국과 같은 국가들은 오래 전부터 이런 문제에 직면해 왔기에 '함께 살아가는 법'을 터득했지만, 한국은 분명 그런 면에서 서툰 것이 사실이다. (굳이 인종, 국적의 문제를 떠나 성적 취향 문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들이 어떤 목적을 지니고 한반도에서 삶을 영위해가든 간에, 결국 한 무리의 인간일 뿐이다. 얼마나 끔찍한 범죄를 저지르고, 어떤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주든, 그들이 타지에서 왔기 때문에 달라지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끊임없이 되뇌어야 한다. 그들을 처벌함은 그들이 인류의 가치를 져버렸기 때문이지, 그들이 속한 group의 업보 때문이 아니다. 물론, 특수성을 감안하여 그에 걸맞는 예방책을 계획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들을 벌하기 위해 우리가 인륜을 저버릴 수는 없는 것 아닌가. 그들의 차이점을 무시하는 것도 현실에 맞지 않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그것에만 집착하면 안 된다. 결국 그들도 인간일 뿐이고, 오해와 악의에 의해 생기는 충돌은 영원히 사라질 수 없지만 최소화할 수는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Xenophobia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