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ted (2008) : What have you done lately?

MuzeWeek/Culture 2008. 7. 8. 15:53

참 신기합니다. 나이를 먹으면 자연스럽게 비현실적이고 판타지적인 세계관을 탈피하게 된다고 하는데, Muzeholic은 아직도 멀쩡하니 말이죠. (예를 하나 더 들자면, 나이가 들면 시끄러운 펑크나 락 음악이 싫어진다고 하는데 아직은 그럴 기미가 안 보이니 나이를 먹는건지 안 먹는건지 모르겠음. 뜬금없이 왜 이런 이야기를 했는지는 밑에서 계속.) 이야기를 이렇게 꺼낸걸 보면,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 가닥이 잡히시나요? 그렇습니다. "원티드 만세!" (스포일러랄건 없지만 그래도 설을 풀어나가는데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는 스토리가 공개됩니다.)

Wanted(2008)를 히어로물로 봐야할지는 조금 논란의 여지가 있겠지만, 분명 그 형태를 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영화 스파이더맨(2002)과 아주 닮아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또 쿵푸 팬더(2008)와도 흡사합니다. (개그의 방식이나 구조 등등.) 이런 작품들의 공통점이 무엇이냐구요? 하찮은 소시민이 어떤 계기를 통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삶을 맞이하는 과정 정도로 풀어서 쓸 수 있겠습니다. 그 매개체가 무엇인가는,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가는 당연히 각양각색이지만 보통은 운명 혹은 절친한 이의 죽음 등이 됩니다. 사실 이런 형태의 성장의 서사를 헐리우드 영화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 것은, 물론 보편적인 플레이타임(1~2시간)내에 플롯을 전개하기 적합한 형태인 까닭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대중성에서 기인하겠죠. 하찮은 소시민들로 가득찬 관객석은 당연히 감정이입이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더라도 적어도 측은지심을 이끌어낼 수는 있습니다. 다음은 주인공 Wesley Gibson(James McAvoy분)이 퇴근 후 돈을 인출하려고 하는 장면에서 ATM기기 화면에 뜨는 문구 중 일부분입니다. (정작 한글로는 어떻게 자막을 달아놓았는지 놓쳤는데, 그대로 번역하지는 않은 것 같더군요.) 

You’re broke.
Your best friend is fucking your girlfriend.
And you’re too big a pussy to do anything about it.
ACCEPT ? -->

(니 계좌에 돈 없어 임마.
절친한 친구라는 놈은 니 여자친구랑 붙어먹고 있지.
근데 넌 뼛속부터 겁쟁이라 뭘 어찌 하지도 못해.
내말 맞지 ? --> )

ATM기에 이런 문구가 떴다는 것에 놀라기 보다는, 그걸 읽고 ACCEPT 버튼을 누르는 우리 주인공의 모습을 보면서 관객들은 무슨 생각을 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래, 난 그래도 저 정도 병신은 아니지.' 아니면 '아놔 지못미 ㅠㅠ', 혹은 그냥 '낄낄 병신' 정도일까요. 또한 관객들 역시 이제껏 학습된 바가 있기 때문에 이 하찮은 주인공이 어떤 방식으로든 환골탈태를 할 것이라는 예측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밑도 끝도 없이 우울한 이 상황에서 개그를 칠 수가 있었던 것이죠. (만약 영화가 저 장면에서 끝나버렸다면 엄청 무안하지 않았을까요? 일단 환불소동은 열외하고라도.) 이런 성장의 서사의 서두에 서서, 그 불안한 모습을 목격하면서도 안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본다면 그것은 일종의 '믿음'이라고 봐도 될 것입니다. 나와 같으면서도 다른 저 하찮은 이의 미래에 대한 믿음, 이것이 바로 헐리우드식 성장 영화의 바탕에 깔려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스토리 상으로는 오히려 퍼니셔(2004)고스트 라이더(2007) 등의 작품들과 더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스파이더맨과 비교한 것입니다. (토비 맥과이어와 제임스 맥어보이의 이미지가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 같구요.) 원작 만화의 작가인 Mark Millar는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I wanted the film to basically be the opposite of the Spider-Man movie, the idea of someone getting powers and realizing they can do what they want, then choosing the dark path." [각주:1] "난 이 영화가 기본적으로 스파이더맨 영화의 정반대가 되길 원했어요. 어떤 한 인물이 능력을 얻게 되고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까지는 동일하지만, 그 후에 어둠의 루트(?)를 선택하는 거죠." 막상 영화를 보는 당시에는 워낙 캐릭터가 개그성이 강해서 다크 히어로 계열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지만, 나와서 곰곰히 따져보면 분명 맞는 말입니다. 적어도 남의 머리에 총알을 박아넣는 행위가 '선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기는 힘드니까요. 이것 또한 놀라운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면 다크 히어로의 광란적 에피소드에 지나지 않는데, 그것을 보며 감정이입을 하게 만들고 카타르시스까지 느끼게 하다니요.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요?

...허리 안아픔;?

그 이유는 바로 속도감에 있습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이라면 놓칠 수가 없는 당연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물론 액션 영화에 속도감이 없다면 절반은 밑지고 들어가는 셈이 되겠지만, 그래도 통용되는 어느 정도 수준이 있기 마련이죠. 또 이 영화에서 속도감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모션의 빠름, 혹은 진행의 빠름으로만 이루어져 있지 않습니다. 애니메이션이나 만화책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질주하는 액션 이외에도, 허구성의 카타르시스에서 기인하는 요인 역시 분명 존재합니다. 이른바 'bending bullets'(휘는 탄도)로 대표되는 비사실성이 속도감에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무슨 소리냐구요? 원티드(2008)는 사실 엄청난 허구에 바탕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은 것 처럼 보이려 노력합니다. (비슷한 부류로는 HeroesThe 4400 등의 수많은 미국 드라마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너무나 쉽게 수긍해버리면서 관객들의 동조를 얻으려 합니다. bending bullets를 볼까요? 물론 총알이 완벽한 직선으로 나가는 것은 아닙니다. 분명 중력에 영향을 받아 포물선 운동을 할 수 밖에 없죠. 하지만 옆으로 휜다고? 이건 뭐 hop-up 기능 있는 에어건도 아니고 과학적으로는 분명 판타지에 불과합니다. 그럼에도 이 영화는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능'식으로 넘겨버리는데, 막상 황당해서 웃음은 터트릴 수 있을지언정 짜증이 나거나 화가 나기는 어렵거든요.

애시당초에 영화라는 매체가 우리가 경험하지 못하는 것을 구경하거나 대리체험하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떠올려보면, 허구성에 기반한 카타르시스란 당연한 것이 아닐 수 없습니다. 원티드(2008)는 그것을 아주 가볍고 쾌활한 방법으로 제시했을 뿐이죠. 즉 허구성에의 동의를 얻기 위해 속도감을 증폭시킨 것입니다. 설명을 덧붙이자면, 이른바 사수의 카타르시스(gunner's high, 파생으로 sniper's high도 있음)를 통해 내재적 허구성을 보완했다고 해야 할까요? 매트릭스의 경우 배경설명이 매우 독창적=ㅅ=이라 관객이 딴지를 걸기가 쉽지 않았지만, 원티드의 경우는 배경설명이고 뭐고 다 생략하고 밀어붙여 재고의 여지를 주지 않는 식입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전반적인 평점을 종합해보자면 분명 먹힌 것이죠.

그래서인지 Muzeholic은 이 영화를 감상하며 '이 영화의 장르는 펑크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매트릭스가 메탈이었다면, 원티드는 펑크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반지의 제왕은 심포닉 메탈이냐? =ㅅ=;;) 메탈이 계산된 비트와 멜로디에 바탕해 그 에너지를 분출하는 방식이라면, 펑크는 법칙 자체에 반기를 들며 약간은 미완성인듯 보이지만 그 잠재력만으로 돌진하는 형태랄까요. 매트릭스는 화려하고 깔끔한 액션, 정교하게 짜여진 스토리라인과 코드에 기반해 있었다면 원티드는 지저분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거칠고 빠른 액션, 가벼운 스토리텔링으로 진행하면서도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깔끔한 마무리를 보여주었습니다. 현 세기 초의 불안한 세계를 살아가는 젊은 이들의 에너지와 애환, 유머를 그대로 담아낸 것입니다. 사회 구조에 짓눌려 그 누구에게도, 심지어는 자기 자신에게도 주도권을 행사할 수 없는 그들의 판타지를 gunner's high와 결합시켜 분출한 것이죠. 세상은 지금도 미쳐 돌아가고 있는데, 선택권은 두 가지 뿐이라고 원티드(2008)는 말합니다.

너 스스로가 주도권을 잡을텐가?
아니면 그냥 그렇게 묻혀버릴건가?

Yeah, he's the man.


p.s : 여담이지만, 공식 포스터에서 왜 안젤리나 졸리가 주인공인 제임스 맥어보이보다 큰 부분을 차지하고 나왔는가는 조금만 생각하면 알 수 있습니다. 한 단어면 충분합니다. DECOY.
  1. Wikipedia의 Wanted (film) 항목 하위 Production 참조.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