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 (2005)
MuzeWeek/Culture
2008. 7. 31. 14:33
세상에는 2가지 SF팬이 존재한다. Douglas Adams(더글라스 아담스)의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세계관을 어떤 방식으로든 접해본 사람과, "히치하이커 그게 뭔가효, 먹는건가효? 우적우적"하는 사람이다. 후자는 지금 이 글을 읽고 반성하며, 얼른 12005년 개봉된 동명의 영화를 챙겨보기 바란다. Muzeholic의 경우 영화와 소설 전권을 접해보았지만, 일단 본 리뷰는 영화에 초점을 맞춰 진행할 예정이다. (애시당초에 2005년 작품을 지금에서야 끄적이는 이유는, Wall.E의 개봉을 앞두고 이 영화에 등장하는 로봇 Marvin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Don't Panic! and don't leave home without it.
어느날, '은하계 초공간 개발위원회' 소속 우주인들은 초공간 이동용 우회 고속도로의 건설을 위해 도로부지에 위치한 지구별의 철거를 결심한다. 지구의 폭발일보직전, 영국인 아서 덴트는 가장 친한 친구였던 포드 프리펙트에 의해 구출되는데, 실제로 포드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개정판 작업을 진행중이던 우주인이었다. 이 둘은 이제 히치하이커가 되어, 은하계 대통령 출신인 포드의 사촌 자포드 비블브락스, 그리고 또다른 지구인 트릴리언과 동행하게 된다. 여정을 통해 아서는 지구가 우주와 생명의 신비를 밝혀내기 위해 '깊은 생각'이라고 하는 슈퍼 컴퓨터가 프로그래밍한 일종의 컴퓨터에 불과함을 알게되는데...이 시놉시스는 일부러 개그성을 다 배제한 것인지 정말 보기만 해도 재미가 없어지려고 하는데, 뭐 대충 내용이 저렇다는 것만 알아두자. 미리부터 밝혀두자면, 이 영화는 절대적으로 유쾌하다. 소설을 읽다보면 Douglas Adams가 실제로 철학이나 양자물리학, 우주이론 등에 대해 꽤 폭넓은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는 그 심오한 주제들을 영국인들 특유의 개그마인드로 포장해낸 것이다. 어쩌면 우주이론을 철학과 결부시켰기에 그런 유쾌한 발상이 가능한지도 모르겠다. 비슷한 부류로는 지구를 지켜라(2003)나 케로로 중사(ケロロ 軍曹) 시리즈 등이 있겠는데, H2G2에 비하면 유치한 (...SF코메디 자체가 유치함을 기반하고 있음을 생각해보면 이 표현도 아이러니컬하지만) 수준이 아닐 수 없다.
Heart of Gold spaceship.
...보이는 것과 다르게, 절대 저예산 영화는 아니다.
Marvin the Paranoid Android.
Marvin의 심리적 스트레스(혹은 우울증)가 얼마나 심각한가 하면, 그가 연결하는 컴퓨터마다 자살해버리는 정도. 이 로봇의 하이라이트는 영화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나오지만 소설에서는 역시 잊을 수 없는 신학에의 조롱을 이끌어낸다. 그는 이른바 창조주의 마지막 전언이라는 것이 적혀 있다는 곳(그 덕분에 관광지가 되었다는)을 향해 필사적으로 마지막 여행을 한다. 일을 그 따위로 해도 되냐고 따지고 싶었던 것일까. 그렇게 가까스로 도달한 그는 창조주의 마지막 메세지를 확인한 후, "I think, I feel good about it." "그래 뭐...괜찮은 거 같군."이라며 그의 생애 처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그 창조주의 마지막 메세지란 무엇이었을까?
We apologize for the inconvenience.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이런 신에의 조소적 태도는 영화에 잠시 등장하는 나레이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태초에 신이라는 작자가 우주라는 걸 만들기로 결심했는데, 많은 사람들의 원성을 샀어요." 이 정도면 Douglas Adams의 유머감각이 어떻게 H2G2 전체를 감싸고 있는지 맛이라도 느껴질까?
난 손을 들고 있다, 꼼짝마!
Hitchin' a ride.
Don't Panic!
이 넓은 우주에서 무슨 생각이 그렇게 많아?
- 첫 시작은 1978년 BBC Radio 4에서의 코메디 스크립트 형식이었고, 그 이후 연극, 소설, 만화책, 컴퓨터 게임, TV 시리즈 등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미디어의 형태를 입었다. [본문으로]
- 이 첫번째 권의 제목 역시 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이다. [본문으로]
- Radiohead의 노래 Paranoid Android는 바로 이 로봇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문으로]
- 이 구절이 궁금하다면 지난 포스트 Laughing Man's Curse를 참조. [본문으로]
- H2G2의 등장인물 Ford Prefect는 타월(towel)이야 말로 히치하이커들의 필수품이라고 주장한다. 그 이유인 즉슨, 타월을 가지고 있을 정도라면 다른 모든 생존에의 필수품은 전부 챙긴 빠릿한 나그네로 인식되기 때문이라는 것. ...농담이 아니라 진짜 이렇게 적혀 있다. [본문으로]
'MuzeWeek >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LL·E (2008) : 불편하지 않은 디스토피아의 진실. (40) | 2008.08.10 |
---|---|
The Dark Knight (2008) : Why So Serious? (125) | 2008.08.06 |
Batman Begins (2005) : Why Do We Fall? (15) | 2008.08.05 |
Who Watches The Watchmen? (14) | 2008.07.29 |
The Good, The Bad, and The Weird (2008) : The Dream. (26) | 2008.07.21 |
Wanted (2008) : What have you done lately? (6) | 2008.07.08 |